2월 25일 화요일,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서울신문입니다. <br /> <br />1월분 난방비 고지서 보고 두 눈을 의심한 분들 계시죠. <br /> <br />패딩에 수면 양말까지 껴입고 버텼는데도 난방비가 30만 원 가까이 나와 난감하다는 반응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왜 그런 건지와 함께 난방비 아끼는 팁까지전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유독 1월분 요금이 더 많이 나온 이유. 보통 12월보다 1월이 더 추워서 당연히 난방을 더 많이 하기 때문인데 여기에 더해 작년 여름 인상된 난방비의 영향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용 난방 사용 요금은 메가칼로리당 9.8%, 주택용 도시가스 소매 요금은 메가줄당 6.8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중 가장 추운 달이라 보일러를 안 틀 수도 없으니 난방비가 더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 어떻게 하면 난방비 폭탄을 덜 맞을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가장 중요한 건 겨울철 실내 온도를 20도로유지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외출할 땐 외출 모드로 바꾸거나 난방 밸브를 차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<br /> <br />가습기를 쓰면 난방 효율이 올라가고, 난방 설비 배관을 청소해줘도 난방비를 아낄 수 있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기억해두시고 겨울마다 활용해서 난방비 아끼시기를 바랍니다. <br /> <br />다음 중앙일보입니다. <br /> <br />올라버린 물가와 월세, 등록금에 대학생들 사정이 더 팍팍해졌다는 내용, 어제 전해 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대학가에 하숙집이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든 나가는 돈을 줄이고 싶은 대학생들이 하숙집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건 서울 한 대학가의 게시판인데 하숙 안내문이 많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대학 커뮤니티나 온라인 카페, 플랫폼 등을통해서 방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도 예전과 달라진 점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1~2월, 하숙 중개 플랫폼의 하숙 예약 건수는 지난해보다 20%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대학가, 서울 신촌 하숙집 35곳 중 방이 남아 있는 곳은 단 3곳뿐이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뭐니 뭐니 해도 하숙집의 가장 큰 장점은 낮은 비용이죠. 밥도 주고, 관리비는 없어서 다 해도 월세가 50만 원대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주요 대학가 원룸 평균 월주거비가 59만 원인 걸 생각하면 30% 이상 저렴한겁니다. <br /> <br />또 전세 사기가 잇따르면서 비교적 안전한 하숙에 눈을 돌리는 측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숙집은 원룸 오피스텔 붐이 일면서 한때 밀려났었는데요. <br /> <br />다 같이 올라버린 물가와 월세, 대학등록금 삼중고의 여파로 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[정채운] (jcw17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22506115767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